1 | 맥류 관리 |
❍ 잦은 강우로 인한 습해 및 갑작스러운 꽃샘추위 한파 피해 방지를 위해 포장 내 배수로 정비가 필요함
- 습해와 잎이 누렇게 변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물길 정비
→ 잎이 누렇게 되면 요소 2% 액(요소 400g/20ℓ, 살포량 100ℓ/10a)을 2~3회 뿌려줌

2 | 감자 봄재배 |
❍ 아주심을 때 알맞은 감자싹의 길이는 3~5cm 정도이며 뿌리가 잘 발달해야 심은 후 뿌리내림이 양호하고 초기생육도 왕성하게 됨
- 싹을 틔워 아주심는 시기는 남부지방은 3월 상순~중순이며 중부지방은 3월 하순~4월 상순임
- 싹틔움상에서 너무 오랫동안 키워 잎이 전개된 씨감자는 뿌리가 많이 끊기고 수분 증산이 많아 뿌리내림이 늦어지므로 잎이 전개되기 직전에 아주심는 것이 바람직함
❍ 감자밭은 아주심기 하루 전이나 심는 날 땅을 고른 후에 이랑을 만들며 늦서리의 피해가 적은 지역에서는 일찍 심을수록 좋음
- 싹틔움상에서 씨감자를 채취할 때는 채취 하루 전 또는 2~3시간 전에 물을 충분히 주어 뿌리가 끊어지지 않게 함
- 아주심기 전에 이랑 사이는 1줄로 심는 경우 60~80cm로 하고 2줄로 심을 때는 이랑폭을 100cm 정도 만들어 포기사이를 20~30cm로 심음
- 비닐피복 재배할 때는 감자싹이 완전히 묻히도록 10~20cm 두께로 흙을 덮고 전용 제초제를 살포 후 비닐로 덮어줌

3 | 고구마 육묘 |
❍ 고구마 재배를 위해 10a에 필요한 묘는 4,500~7,100본 정도이고 매회 1,500~2,200본의 싹을 생산할 수 있는 씨고구마를 준비함
- 씨고구마 1kg에 묘 생산량은 20~30개이므로 10a에 필요한 양은 75~100kg 정도임
- 큰 씨고구마는 작은 씨고구마에 비하여 싹이 튼튼하고 좋으나 같은 중량에서 생산되는 싹의 수가 적음
- 작은 씨고구마는 같은 중량에서 생산되는 싹의 수가 많으며 육묘 환경만 좋으면 우수한 싹을 생산할 수 있음
❍ 씨고구마의 선택은 병들지 않은 건전한 고구마, 품종 고유의 특성을 가진 고구마, 저장 중 냉해를 입지 않은 고구마, 재배작형에 알맞은 품종 선택이 중요함
- 검은무늬병, 건부병 등의 피해를 입은 고구마는 사용하지 않음
- 냉해를 입은 고구마는 양끝이 갈색으로 썩은 것이 많고 잘라보면 광택이 없으며 유액이 적게나옴
- 8월에 햇고구마를 출하하는 경우 괴근 비대가 빠른 주요품종으로 풍원미, 신자미 등이 있음
❍ 씨고구마로 전염되는 검은무늬병, 검은점박이병 등의 병 발생이 우려되므로 전용약제 분의 소독 또는 47~48℃에 40분간 온탕소독 실시
❍ 묘상의 폭은 120~130cm가 묘상관리 및 채묘작업에 용이하고 묘상과 묘상사이는 30cm가 적당함
❍ 씨고구마를 묻고 1차 채묘까지의 기간은 비닐하우스 안에서 전열온상은 30일, 양열온상은 40일 정도임
4 | 종자 공급 및 사전준비 |
❍ 영농기 이전에 상토, 농약, 전용비료, 토양개량제, 유기질비료 등 각종 농자재는 미리 준비함
❍ 콩·팥 정부보급종 종자 신청(국립종자원 홈페이지 공지)
- 보급종은 품종 특성을 미리 알아보고 해당 지역에 공급되는 품종을 기간 내에 시군농업기술센터, 읍․면 농민상담소(읍․면 상담소가 없을 경우 읍․면 사무소)에 희망 품종과 물량을 신청함
- 일반신청 추진일정
시도단위(읍면동) 신청기간 | 시도단위(시도) 신청기간 | 전국단위 신청기간 | 공급시기 |
2.3.~3.17. | 3.18.~3.20. | 3.21.~4.8. | 4.1.~5.10. |
- 공급계획 품종
분 류 | 품 종 |
두부 및 장류콩(9) | 대원, 대찬, 대풍, 연풍, 선풍, 진풍, 강풍, 청아, 태광 |
콩나물콩(2) | 풍산나물, 아람 |
팥(1) | 아라리 |
* 공급시기, 품종 등 자세한 내용은 국립종자원 식량종자과 문의 (054-912-0187)
* 자료제공: 국립식량과학원 안승현 연구사(063-238-5378)
'■ 텃밭작물 이야기 ■ > ◆텃밭정보 그리고 농사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엔다이브 ( Endive ) 특성 및 효능 (0) | 2022.03.18 |
---|---|
당조고추 효능 간단히 알아보기 (0) | 2022.03.16 |
용성인비의 구성과 특징,특성,용도 (0) | 2022.03.13 |
2월에 심는 텃밭 작물 (0) | 2022.02.15 |
감기에 좋은 모과 (0) | 2021.09.28 |
댓글